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보로노이 7200억원 ‘잭팟’… 美 오릭에 표적치료제 기술수출

by 디노아 2020. 10. 20.

해당 기술은 보로노이가 자체 개발한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HER2(인간상피세포증식인자수용체2) Exon20 insertion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및 고형암 치료제 후보약물입니다.
이번 계약 규모는 최대 6억2100만 달러(약 7200억원)에 달하며, 보로노이는 계약금으로 1300만 달러를 지급받습니다.
상업화에 최종 성공할 경우 보로노이는 10% 안팎의 로열티도 해마다 받게 됩니다.
오릭은 이번 계약으로 중화권(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글로벌 판권을 갖게 됐으며, 내년 하반기 중에 임상1/2상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현재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비소세포폐암 만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보로노이 폐암 치료제 후보물질은 발암원인인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에만 매우 정밀하게 선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 폐암 환자들 가운데 30~40%가 암의 뇌 전이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데, 상업화 성공시 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는 “표적치료제 개발에 많은 경험을 쌓은 팀원들이 있는 오릭과 손을 잡게 돼 기쁘다”며 “표적치료제가 없어 일반 항암치료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날이 하루라도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제이콥 차코 오릭 대표는 “정밀 암치료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있는 오릭에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추가하게 돼 기쁘다”며 “먼저 ROS1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Entrectinib) 개발을 진행한 경험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릭은 로슈, 화이자, 제넨텍, 바이오젠 등 글로벌 빅파마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고 비소세포폐암, 전립선암 등 항암제 개발에 성공한 임원진들이 지난 2014년 창업한 미국 캘리포니아 기반 나스닥 상장 제약사다.
먼저 핵심 임원진이 창업한 이그니타(Ignyta)는 ROS1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엔트렉티닙(Entrectinib)’을 개발한 후 2018년 로슈에 17억 달러에 합병된 바 있습니다.
현재 오릭은 전립선암 및 기타 고형암 분야의 표적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댓글